대학부
김태영 기자

  영화 속에선 범인을 쫓는 경찰들이 “여길 넘어서면 내 관할구역이 아닌데…”라며 관할구역을 넘어서 추격을 해야 할지 말아야할지 고민하는 장면이 흔히 나온다. 물론 사명감 투철한 주인공들은 상관의 꾸중을 들을지언정 범인을 꼭 잡으려 추격을 감행한다. 범인을 잡아야한다는 최상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본래 관할구역을 나눈 것은 그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니 말이다.
  하지만 취재를 하다보면 우리학교 교직원들에겐 위와 같은 사례를 기대하기 어렵다. 철저한 관료주의에 얽매여 목적이 전도되는 현상을 쉬이 발견할 수 있다. 가령 우리학교 도서관에 책을 가장 많이 빌린 학생을 인터뷰하고 싶으니 조회를 해달라고 요구한 적이 있다. 이에 “담당자가 회의를 가서 알아보는 게 불가하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간단한 건데 다른 분이 하시면 되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그래도 담당자가 올 때쯤 다시 연락하라는 회신이 왔다. 이곳뿐만 아니라 다른 부서에서도 담당자가 며칠 출장을 가면 해당 업무는 마비 상태나 다름없다. 이번 호 <’충대앱, 개인정보는 안전한가> 취재 때도 담당자가 출장을 가서 대답해줄 수 없다는 말을 연신 들었다. 담당자가 자리를 비운 사이 통합정보시스템 보안 상황에 대해 물어볼 사람이 하나 없다는 게 과연 상식적인 일인가 싶었다.
  물론 관료주의의 효율성을 무시하는 건 아니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구조라는 건 동의하지만 문제는 말단 부서에서까지 사소한 것 하나하나 분업화한다는 것이다. 한 부서에 많아야 스무 명 내외, 적으면 열 명도 안 되는 조직에서 직원 간 철저한 분업화는 결코 효율적이지도 않고 안정적이지도 않다. 특히 환경변화에 따른 유연성 결여가 가장 큰 문제다. 정보통신원의 한 관계자는 “사람은 없는데 일이 너무 과중하다.”고 하소연한다. 이 때 한 사람만 출장을 가거나 병환이 생겨 드러누우면 해당 업무에 차질이 빚어질 것은 불 보듯 뻔한 사실이다. 광고 회사의 디자인 팀에서 한 명이 드러눕는다고 그 디자이너의 업무에 아무도 손을 대지 않거나 아예 못 댄다는 건 비정상적인 일임을 인지해야 한다.
  사회 전반에서도 탈관료주의적인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기업에서는 팀제, 테스크 포스 등 유연한 조직 형태를 도입해 기존 관료제의 단점을 보완하고 효율성은 극대화 시키는 시도를 하고 있다. 우리학교의 구조 또한 변화가 필요하지는 않은지 점검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