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주의란?

 <글 싣는 순서>
 1. 철학이란?
 2. 실존주의
 3. 사회비판이론
 4. 구조주의
 5. 실용주의
 
  구조주의는 하나의 방법론이다. 인간의 사고와 사회속의 근거에 있는 보편적이고 무의식적인 구조를 찾으려는 것이다. 즉, 기존의 철학이 사유에 있어서 이념적 성질을 띠는데 반하여 구조주의는 연구의 방법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다.
  데카르트는 그의 유명한 방법론적 회의를 거쳐 존재를 규명하게 되는데 이로부터 인간의 사고이성은 철학과 역사의 주체가 되었다. 이는 역사를 절대이념의 실현의 장으로 바라본 헤겔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구조주의는 언어학적 구조규명에 의해서 위와같은 주체로서의 자아와 역사적 실현을 부정한다. 언어체계속에서 기호들이 규정되듯이 관계의 구조속에서 인간사회는 규정되는 것이다. 이는 인간 개개인이 주체로서의 의지와 사고로 자신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집합개념으로 존재하는 구조의 틀 속에서 의미를 부여받고 행위양식을 부여받는다는 것이다. 이는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자인 알퉤세르의 유물변증법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그는 인간의 혁명적 의지에 의한 실존적 인식도 하나의 상상적인 것으로 역사는 몰 주체적인 경제구조 자체에 의해 지배된다고 보았다. 이와같이 구조주의는 철학에 있어서의 주체를 소멸시킨다.
  또한 구조주의는 각 구조속에서 의미가 규정되는 체계를 인정하므로 기존의 사상과 문화연구에서 보여지는 자신의 합리성과 보편화가 서로 다른 역사와 생활문화권의 다양성을 자신의 기준과 규범으로 재단하는 것을 반대한다.
  즉, 구조주의는 자신의 이론이나 사상으로 다른 사회의 것들조차도 동일시키려는 시도에 대하여 각 체계들속에서 규정되어지는 의미들의 다양성의 관계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레비스트로쓰의 문화이론등에서 잘 드러난다.
  그는 과학기술문명의 진보정도에 따라서 일률적으로 문화발전수준을 나누려는 시도에 대하여 각기의 문화는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문제와의 대결과정 그리고 지리적 환경적문화전파 등에 힘입어 자신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지식을 겸비함으로 각기의 문제에 따라 문화체계를 다르게 보아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이러한 것은 푸코의 철학이 고고학적 방법론을 택하고 있다는 것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이 고고학적 방법은 어느 하나의 합리성, 의식, 과학이 아닌 체계의 상호 실증성을 통한 체계완성의 길이란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구조주의의 개괄적 특징을 이제 알튀세르의 사상을 통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알튀세르는 맑스의 역사유물론을 완전한 과학으로 정립하려는 시도에서 구조주의적 방법을 사용한다. 그는 역사유물론이 특정계급, 즉 프롤레타리아의 이해만을 반영하는 성격을 파기하고 수학이 그 자체로 성립하듯 순수한 이론의 과학이길 주장한다. 그는 그당시의 청년 맑스의 저작을 기초로 한 사회주의적 인간주의를 객관적 과학성을 갖추지 못한 계급이데올로기를 비판하며 인간개념을 해체하여 주체를 구조의 체계로 정리하려 하였다. 그는 이를위해 인식론적 단절을 시도하는데 이것은 인간이란 범주를 기반으로 하는 인간적 문제설정과의 단절을 통해 구조적 생산양식이라는 사회관계의 총체로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그는 역사와 역사유물론을 몰주체적인 경제구조로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동일화를 가져오는 연속적인 역사인식에서부터 구조적 층의 다양성과 관계를 보는 단절과 비연속의 역사인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우리는 구조주의를 주체의 소멸을 통한 구조적 관계의 틀이라는 특성으로 그리고 자기자신의 관점과 이해로 사상과 문화의 면을 제단하려는 동일화의 특성에 대하여 각 구조속에서 의미를 부여받는 관계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특성을 살펴보았다.
  사실 구조주의는 매우 차가운 철학이다. 인간의 이념과 가치를 구조속으로만 내재시키며, 기호체계속의 요소로만 파악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조주의는 특정 이데올로기나 신념을 유일시하며 대다수의 다른 이견을 무시하며 강요하는 사상ㆍ문화적 폭력에 대하여 각기의 가치구조를 인정하는 열린 개념이기도 하다.

 백승렬
(철학ㆍ2 우리철학회 회원)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