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이가연 기자,  언론정보학과
이가연 기자, 언론정보학과

  충대신문을 읽는 학우는 많지 않다. 학보사가 어떤 일을 하는지 아는 학우는 더더욱 적다. 누군가는 학보사가 하는 일이 의미 없거나 사서 고생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설령 그렇더라도 기자는 충대신문에 입사한 것을 후회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기자는 충대신문 덕분에 학교에 관심을 가지게 됐고, 일반 학우였다면 하기 어려웠을 다양한 경험을 해봤기 때문이다.

  하나의 기사가 완성되려면 ‘아이템 선정-취재-기사 작성-퇴고’의 과정을 거친다. 아이템 선정 과정에서는 학교 공식 홈페이지부터 학우들의 솔직한 목소리가 담긴 커뮤니티까지 넘나들며 기삿거리를 찾는다. 또한 발로 뛰며 직접 학교 곳곳을 가보고 지인에게 묻기도 한다. 별거 아닌 일처럼 보여도 괜찮은 기삿거리를 찾는 일은 완벽한 시간표를 짜는 것만큼 까다롭다. 학우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던 사건이라도 시의성이 떨어지거나 직접 취재하는 것이 어렵다면 기사로 보도될 수 없다. 

  이 때문에 기자에게는 사소한 습관이 생겼다. 학교를 걷다가 보이는 교내의 현수막, 학교에서 날아오는 홍보성 메일도 꼼꼼하게 읽게 됐다. 학교생활을 하다가도 학교에 불편한 점이 있는지 자주 생각해 보곤 한다. 그리고 이런 습관들이 학교에 대한 관심과 애정으로 이어졌다.  

  그러다가 좋은 아이템을 찾아내면, 회의를 거듭해 기사의 뼈대를 세우고 본격적인 취재에 나선다. 취재 과정에서 학내 구성원의 목소리가 담긴 인터뷰는 기사에 생동감을 불어넣어 주는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그러나 기사에 적합한 인터뷰이를 구하는 것은 쉽지 않다. 

  기자는 충대신문 지난 호에서 사람면 인터뷰이를 구하기 어려워 무산될 것으로 예상했다. 학생운동 경험이 있는 졸업생을 찾아야 했는데 그때 당시 학교를 다녔던 졸업생의 연락처를 구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단정지었다. 총동창회와 총학생회에 문의해 봐도 큰 진전은 없었다. 그러던 중 교수님을 통해 한 졸업생의 연락처를 받았고 건너건너 인터뷰이를 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섣불리 포기하지 않고 시도해 보면 된다는 교훈을 얻기도 했다. 

  취재할 땐 인터뷰 외에도 학교에서 진행 중인 공사나 사업과 관련된 정보를 얻기 위해 교내 행정기관에 전화를 걸어야 한다. 처음 기자가 되고 전화를 걸 때는 목소리도 떨리고 걱정이 많았다. 그러나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는 말이 있듯이 금방 적응돼 현재는 전화하는 것이 전혀 두렵지 않다. 이 덕분에 일상생활에서도 모르는 것이 생기면 고객센터, 식당 등에 바로바로 전화할 수 있게 됐다. 

  이렇게 취재한 내용을 바탕으로 살을 붙여 기사를 작성하면 수십번의 퇴고 과정을 거쳐 기사가 완성된다. 취재를 하며 교무과, 학사지원과, 인재개발원 등 평소 잘 알지 못했던 행정기관의 역할도 알 수 있었고 다른 단과대학 학우, 졸업생, 총학생회장 등 평소 접점이 없던 학우들의 목소리도 들어볼 수 있었다.  

  충대신문 지원을 고민하는 학우가 있다면 일단 지원서를 넣어보길 바란다. 직접 경험해본 사람 입장에서 학보사는 학교생활을 하며 할 수 있는 가장 값진 경험이었다. 기자가 장담컨대 절대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