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 나라 일본은 한국보다 30년가량 이른 1959년 후생연금(일본의 국민연금)을 시작했다. 일본은 저출산·고령화 문제도 한국보다 먼저 맞닥뜨린 만큼, 현재 한국이 직면한 문제점도 일찍 발견됐다. 일본의 연금 문제가 시작된 시기는 버블 경제가 붕괴한 1999년부터이다. 

  이에 2004년 당시 고이즈미 총리는 연금 개혁을 강행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웠고 후생연금과 공무원연금을 일원화해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결국 일본 정부는 2004년 13.58%였던 보험료율을 2017년까지 18.3%로 올리기로 했고 돈은 더 내고 받는 돈은 줄이는 방향으로 개혁을 실시했다. 이후 2015년 일본은 국가재정이 위험하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며 공무원연금과 후생연금을 통합했다.  

  이처럼 일본은 한국보다 급진적인 연금 개혁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정부가 후생연금 납부 연령을 현행 59세에서 64세로 연장하는 것을 검토하는 등 연금제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크다.    

  최근 프랑스에서도 연금 개혁이 뜨거운 감자로 급부상했다.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정부는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올해 초 연금 개혁에 칼을 뽑았다. 프랑스의 연금 개혁안은 퇴직 연령을 62세에서 64세로 연장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최소 100만 명 이상의 프랑스 국민이 해당 개혁안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를 지속하는 중이다. 심한 반발에도 프랑스 정부가 연금 개혁에 확고한 이유는 연금 적자 위기를 세금 인상이나 국가 부채를 늘리는 식으로 해결할 생각이 없기 때문이다. 프랑스 노동부 올리비에 뒤솝트 장관은 “연금 적자로 인해 세금을 올리거나 국가 부채가 늘어난다면 후세대에 부담을 준다”며 “연금을 개혁해야 더 많은 이들에게 공정한 혜택을 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 네티즌들은 사이에서는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한국의 정년이 70세가 되는 건 아니냐”, “반대가 극심하더라도 나라의 미래를 위해 필요하다면 적극 돌파해야 한다”는 등의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