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대 구성원간 기성회 관련마찰 심화

 우리 학교 사회대를 중심으로 기성회비 책정 관련 ‘구성원간 공개와 합의’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사회대에서는 학생회를 중심으로 지난 18일과 24일, 30일, 3차에 걸쳐 ‘학생자주권 쟁취를 위한’집회를 가졌다.
 사회대에서는 1차 집회때 2백여명의 학생들이 모인 가운데 선전전을 진행했으며 24일 있었던 2차 집회에서는 약 1백 여명의 학생들이 대학본부로 항의방문을 가 학생처장을 비롯한 대학본부 직원들과 심한 마찰을 빚었다.
 또한 사회대 건물 앞에서 있었던 3차 집회에서는 투쟁본부를 세우고 사회대 학생회장과 각 과학생회장들이 ‘학생자주권 쟁취!!’라는 혈서를 쓰고 투쟁본부장이자 행정학과 학생회장인 이호석(행정 · 3)군이 삭발을 하는등 강력하게 대처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사회대 학생회장 김경만(사회 · 4)군은 예산변칙 지출 근거에 대해 우선 “현재 사회대 총재적생은 약 1천 8백명 정도이다. 하지만 휴학생을 제외하고 나면 그 수는 1천 2백 명 정도로 추정되는 사회대 당국에서는 예산서에 명시된 학생 실험실습비 3만 6천원을 1천 2백 명이 아닌 1천 8백 명으로 환산해 1인당 2만 3천 8백원으로 책정하고 단과대에서 집행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각 과로는 1만 3천 3백원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사용내역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김군은 학생경비에 대해서는 “학생경비 3천 6백만원의 지출내역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물론 사회대 예산편성의 책임을 지고 있는 사회대 학장 이계회(정외 · 교수)교수의 말은 학생들의 주장과는 차이가 있다.
 이교수는 우선 “학생들이 혈서, 삭발 등의 과격한 방법을 선택한 것은 잘못”이라며 “대화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강조했다. 또한 이교수는 “편성원칙은 충분히 가변적인 것이며 실제적으로 사회대 예산에는 학생들이 주장하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양측의 주장이 어찌했던 간에 구성원간 합의와 공개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은 사실로 추정된다. 더욱이 이러한 ‘대화의 부족’이 비단 사회대에서만이 아니라 우리 학교 전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 문제의 핵심이 있다.
 그 예로 문과대에서도 ‘학생합의필 서명란’ 신설을 두고 교수와 학생측이 약간의 마찰을 빚은 바 있다.
 하지만 정덕기 전임 총장 재직당시인 지난 1월 23일 문원강당에서 있었던 총장 · 학생간담회에서 정덕기 전임 총장은 “학생들의 공식적 참여 및 예산공개의 원칙을 지켜내도록 힘쓸 것”이라며 ‘학생 합의필 란’을 인정하는 발언을 했다.
 이 문제는 물론 사회대에서 집회나 혈서, 삭발이라는 과격한 방법을 택한 이유와 연관이 있다. 사실 예산 편성지침에 나온 ‘구성원간 공개와 합의’라는 말이 각 단위에서는 얼마나 잘 지켜지고 있는지는 충분히 의심할 수 있는 부분이다.
 지난 번 사회대에서 대학본부 항의방문을 갔을 때도 그랬지만 대학본부 관계자들의 대답은 “단과대의 일을 단과대에서 해결하지 못하고 여기와서 이러면 어쩌냐”였다. 하지만 정작 대학본부에서 지침을 내리면 그것으로 끝인가? 지침들을 내려 보내더라도 단위에서 지키지 않는다면 이것은 분명한 문제점일 것이다.
 지난 해 평가단 방문을 기점으로 한 대자보 플래카드 철거 및 충대신문 배포연기사건을 기점으로 ‘학생자주권’이 무색해 지고 있다는 생각이다.
 분명 우리 학교는 교수, 학생, 교직원으로 구성된 하나의 사회이다. 하지만 그 중 흔히 ‘1만 8천’이라고 일컫는 학생들의 목소리는 날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는 느낌이다. 이제 우리 학교도 구성원간의 합의가 충분히 이루어 지는 민주적인 사회로 탈바꿈해야 할 때가 아닌가 싶다.

주재만 기자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