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에는 총장선거다 해서 직선총장을 뽑았고, 지난주는 말은 연례행사의 하나인 총학생회장단 선거가 있어 후보들이 열띤 유세활동을 했다. 또 어떤 단과대학에서는 학장선거가 계획되고 있고 학장후보가 되려는 교수들도 많아서 대학은 선거로 1년 내내 온통 몸살을 앓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선거판에서도 대학이 교수와 학생의 학문 공동체인 만큼, 대학의 권위추락을 방치하지 말고 체면을 제대로 유지하는데 지켜야 할 것들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물론 교수가 연구와 교육에 정진하지 않으면서 교수직을 지탱하려는 것과 공부하지 않는 학생이 너무 많다는 것을 반성하는 일에서 시작하지 않으면 안된다. 대학의 문제는 그 본질적인 속성상 교육법, 사학법 등 외부의 각종 행정통제만으로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대학을 구성하는 교수나 학생들의 윤리의식이 토대를 이루지만 금품거래와 정실주의를 야기해 온 정치적 · 사회적 조건이나 시민의 도덕성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지적 능력이나 자질이 부족해도 요행으로 가르칠 수가 없으며, 아무리 학문적으로 훌륭한 교수라도 대학의 캠퍼스를 정치화하면서 학문탐구에는 전혀 관심이 없는 학생들은 제대로 교육할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대학의 권위가 여지없이 추락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교수들이 각종 선거판에서 정실주의를 극복하고 학자적 소명의식과 진리에 입각한 자기신념을 지켜야 한다고 생각한다. 교수사회의 정치적 중립성과 건전성 여부가 한국 대학의 21세기의 운명을 좌우한다는 것은 교육의 특성과 대학이 갖는 특권에서 유래된 것이다. 학처장 보직탐닉, 교수채용 비리, 학생성정 비리, 학위심사과정 비리들은 교수들이 앞장서서 배격하여 대학사회의 소프트웨어를 정화하지 않으면 안된다.
 학부모나 학생들이 대학의 기능을 정확하게 인식하여야 대학의 권위는 더이상 추락하지 않는다. 분명히 말하지만, 대학의 직업준비 교육이 중요하지만 대학은 단순히 졸업장이나 주어서 취업에 유리한 지위를 부여하는 기관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여야 한다. 따라서, 학문탐구를 위한 기본지식이나 신념을 갖지 않는 사람이나 대학을 정치의 장이라고 믿는 학생들은 대학의 입학을 자제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한국의 대학이 각종 선거판으로 휩쓸리고 경제는 추락하여 환율위기, 주가폭락으로 신음하고 있지만 이제 오랜 총학장 선거, 총학생회장 선거등 대학 민주주의를 빙자한 학원의 정치화라는 풍파를 헤쳐나가지 않으면 안된다. 한국의 대학은 민주화의 전개과정에서 빚어진 과거의 잘못된 타성에서 벗어나서 국가와 사회의 기대에 부응하여 21세기를 만드는데 온갖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