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월, 한국장학재단은 상담 업무를 맡은 8개 지역의 일부 콜센터를 통폐합 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전을 비롯한 5개 지역의 콜센터가 사라지고 서울, 광주, 대구 3개의 콜센터만 남을 예정이다. 하지만 도급계약 형태로 상담 업무를 수행하던 콜센터 직원들은 갑작스러운 실직 위기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한 콜센터 직원이 이번 사태를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에 게재하면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장학재단 홍보팀 김태운 차장(이하 김 차장)은 “2017년 3월 이전에는 콜센터가 서울 한 곳에만 있었지만, 한국장학재단이 공공기관이므로 지방 이전 대상에 포함되어 지방거점 지역에 콜센터를 두기로 2017년 3월에 결정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콜센터 분할은 상담 직원들에게 혼란을 야기시켰다. 3월은 신입생 입학으로 콜센터의 상담 업무가 가장 많은 시기였지만 지역마다 교육이 달라 상담 내용의 일관성이 떨어졌고 이는 곧 서비스 불만으로 나타났다. 한국장학재단은 더 나은 업무 수행을 위해 내부의 지속적인 논의와 컨설팅을 통해 업체 변경 및 콜센터 통폐합을 결정하게 됐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콜센터 상담 직원들의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 잔류한 서울, 광주, 대구 3개의 센터를 선정한 구체적 기준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이에 김 차장은 “콜센터 업무는 유선 상담으로 이뤄지므로 위치가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재단의 입장이다”라며 “오히려 실적에 따라 통폐합을 결정하는 것이 인색한 처사라고 생각한다”고 선정 기준에 대해 말을 아꼈다. 계약 만료의 가능성을 공지한 시점에 대해서도 상담 직원들과 한국장학재단은 상반된 입장을 보였다. 한국장학재단 측은 “2월 중순쯤 결정됐을 때 공지했다”고 말했지만 상담 직원들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처우가 열악했다는 불만 역시 제기됐다. 상담 직원들은 상담 성수기인 3월의 경우, 점심시간도 제대로 이용하지 못했고 최저임금만 지켰을 뿐 복지도 전무했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냈다. 김 차장은 “분명 해당 업체와 계약한 조건의 금액을 지불했다”며 “계약 조건에는 휴게 시간도 보장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처우는 상대적인 문제이며 해당 업체를 통해 확인해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고 언급해 단언의 어려움을 표했다. 고용 보장 촉구에 대해서는 김 차장은 “원래 4월 말까지였던 계약 기간을 1개월 연장하여 5월 말까지 상담 직원들이 업무를 지속한다”라며 “아직 계약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라 당장은 대답하기 어렵다”며 말을 아꼈다.
  사실상 이번 콜센터 통폐합은 상담 직원들의 정리해고라는 의견이 두드러지고 있다. 게다가 한국장학재단의 관리 감독 기관인 교육부마저 이렇다 할 대책을 내놓지 못하면서 콜센터 상담 직원들의 시름은 깊어져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 학교에 위치한 콜센터도 폐쇄되고 대전현장지원센터도 이전할 계획에 있어 이를 이용하던 학우들 역시 불편함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