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지원금, 보이지 않는 족쇄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든 시민단체들 대부분이 지자체의 지원을 필요로 한다. 심지어 우리가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유명한 시민단체들은 기업에서도 많은 지원금을 받는다. 이런 과정에서 시민활동과 별 상관없는 사람이 요직에 앉기도 한다. 시민단체가 정계 진출을 위한 등용문으로 전락하는 경우도 생기는 것이다 ‘시민 없는 시민단체’라는 말이 오죽하면 나올까?
  그러나 시민단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운영비가 필요하기에 많은 단체들이 지자체 또는 기업의 지원금을 받고 있는 현실이다.
  이번 기사를 기획하면서 당연히 지원과 관련한 시청 인터뷰도 계획했다. 그러나 먼저 한밭레츠를 취재하던 중 전혀 생각지도 못한 이야기를 들었다. 시청 지원이 지역 품앗이 운동을 망친다는 내용이었다.
  김찬옥 두루지기는 “은평e품앗이나 수원시민화폐 등 다른 지역 레츠들이 성공적으로 자리 잡지 못한 이유는 관 주도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라며 “시에서 주는 지원금에 의존하거나 아예 운영 주체가 공무원인 경우 대부분 실패했다. 공무원이 외부로 발령받거나 지원금이 끊기면 자생할 동력을 상실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덧붙여서 김 두루지기는 “한밭레츠도 분명 시에서 지원금이 들어온다면 지금보다 재정이 나아질 거라 생각하지만 우리의 정체성과 본래 의미가 훼손될까봐 걱정이다. 진정한 시민운동에 지자체 지원은 보이지 않는 족쇄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 품앗이를 비롯한 여러 시민운동이 지속성을 획득하려면 홀로 재정을 꾸려갈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시민운동은 지원금을 이용해 그저 ‘하는 것’만 의의를 두는 것 같아 아쉽다. 시민사회에 어떤 메시지와 변화를 지속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어야 진정한 시민운동이라 할 수 있다.
  시민단체는 진심으로 시민에게 다가가야 한다. 시민에게 사회를 변화시킬 작은 노력을 이해시키고 진정 시민으로 채워진 시민단체가 돼야 한다. 시청과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 발표 프레젠테이션보다 시민들을 향한 접근에 더 진심을 담아야할 때다.


글 성진우 기자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