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연구에 전념토록 지원 필요”

   우리 학교에는 학부 교육을 담당하는 17개의 단과대학(학부 포함)과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전문대학원 등 연구를 담당하는 대학원이 존재한다. 학부 재학생은 17,668명, 대학원 재학생은 5,374명(2014년 8월 대학정보공시 기준)으로 학부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학원 재학생이 적지만 관심도 많이 떨어진 것이 사실이다. 또한 대학원생들은 정부의 대학 정책과 학교의 발전 방향이 주로 학부 위주로 돼 있어 열악한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대학원생이 놓여진 그 이면의 상황을 살펴봤다.

▲대학원생 교내 장학생 선발기준(보다 자세한 내용은 학생과 홈페이지 참고)

     열악한 장학금 제도
   정부는 한국장학재단을 통해 대학생들의 등록금 부담을 줄이고 학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을 펴고 있다. 그러나 국가 장학 정책이 대학 학부생으로 치우쳐 있어 대학원생은 정부의 장학 정책에 소외돼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대학생의 경우 소득분위에 맞춰 소득수준별 지원을 해주는 국가장학금 제도가 있지만 대학원생은 이런 소득분위별 국가 장학금 혜택이 없기 때문이다. 학자금 대출 또한 다르다. 대학생은 ‘일반상환 학자금 대출’과 취업 후 학자금 상환제도인 ‘든든학자금 대출’ 모두 가능하지만 대학원생은 ‘든든학자금 대출’ 대상에서 제외돼 있다. 저소득층 대학원생을 위한 지원이 미비한 것이다.
   이처럼 국가의 지원 정책도 문제지만 대학 차원의 장학금 지원 또한 적은 상황이다. 인문대 대학원생 A 학우는 “대학원생은 (소득분위별) 국가장학금 지원이 없는 동시에 학교 차원의 지원도 적다”며 “학교 장학금을 받는다고 해도 수업료만 공제해주어 액수가 적은 것 또한 문제”라고 말했다.
   우리학교 장학생 선발기준을 보면 학부의 경우 성적 장학금으로 ▲성적우수 ▲격려 장학금으로 나누어 각각 등록금 전액과 수업료를 지원하지만 대학원의 경우는 ▲성적 우수 장학금 하나로 평균 40여 만원인 수업료만 일정 인원에게 공제해주고 있다. 우리학교 학생과 장재호 주무관은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등 일부 대학원은 기성회비까지 지원해주는 장학금이 있으며, 정부초정 외국인 장학생의 경우 전액장학금을 지급한다”고 말했다. 우수 장학금을 제외하고 대학원생을 위한 교내 장학금은 법학전문대학원생, 의학전문대학원생에게 지원해주는 장학금과 ▲대덕(정부 초청 외국인 장학생) ▲영탑(장애) ▲외국인 장학금 ▲연구조교(TA) 장학금이 전부다.

    연구조교 수당 체감 금액 “낮아”
   이와 같이 특정 전문대학원을 제외하면 일반대학원생은 복지장학금이 없는 것을 비롯해 수업료를 지급하는 성적장학금과 월 30만원을 지원하는 연구조교 장학금 이외에 다른 장학 혜택이 없다. 연구조교의 경우 선발인원이 한정돼 있으며, 직장인이 아닌 전일제(Full time) 대학원생에 한하여 받을 수 있다. 그러나 마땅한 소득원이 없는 대학원생이 받을 수 있는 연구조교 수당 역시 금액이 턱없이 적다. 경상대 대학원생 B 학우는 “세월이 지나면서 물가, 월급, 최저임금이 올랐지만 연구조교 수당은 몇 년째 그대로여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공과대학 C 학우는 “실험과목은 연구조교 한사람으로 감당하기 힘든 부분이 있다. 인원수에 대한 연구조교 수당이 나오는 게 맞다”고 말했다. 기초학문을 공부 중인 대학원생 D 학우는 “기초학문은 경제적 효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관심이 부족하고 재정 지원이 미약하다”며 “장학 금액도 적지만 연구조교 선발 인원도 적기 때문에 학업과 아르바이트를 병행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현실들이 결국 연구에 지장을 주어 질 좋은 논문을 쓰는데 어려움을 주는 상황까지 이르게 한다.
   이공계 대학원생도 이와 비슷한 사정이다. 석·박사급 인재 양성을 위한 정부재정지원사업인 BK21 사업단에 선정된 일부 학과의 경우 석사 월 60만원, 박사 월 100만원을 지원하지만 그렇지 않은 학과의 경우 재정지원이 열악하다. 공과대학 석사 과정인 E 학우는 “소속 학과가 사업단에 참여하고 있지 않고 재정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생계를 위해 자급자족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취업·복지 프로그램에는 “소외”
   장학금 혜택뿐만 아니라 대학원은 학부에 비해 학술·복지 지원 프로그램 역시 미약하다. 사범대 대학원생 F 학우는 “특히 학술 지원이 늘어나야 한다. 학술대회, 연구사업 등 실제 연구하면서 실적도 올릴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주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회과학대학 F학우는 “학술지원이 턱없이 부족해 논문을 무료로 다운 받을 수 있는 사이트를 더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학교는 현재 전일제 대학원생이 CI급 국제전문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할 경우에 한해 논문 등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연구 지원금을 주고 있다.
   논문 외 강연, 취업 관련 프로그램 또한 턱업이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 우리학교 취업지원과에서 알아본 결과 대학원생 취업지원 프로그램은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과대학 대학원생 G 학우는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이 없다며 “대학원도 학부처럼 취업이 쉽지 않은데 취업지원에 관한 제도가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취업지원과 백윤희 주무관은 “대학원생도 학부생과 마찬가지로 취업 준비 관련 자료와 시설은 이용 가능하지만 대학원생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은 없다”고 말했다.

    학문, 연구 위한 제도적 뒷받침 필요
   이와 같은 현실에 대학원생의 반응은 한결 같다. 대학원의 본 기능인 학문 발전, 연구 활동을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달라는 것이다. 교육대학원 H 학우는 “같은 충남대 학생이지만 학부생과 달리 대학원생은 학교에서 제공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없다”며 “대학생이 받을 수 있는 혜택조차 받지 못하는 것부터 변화돼야 대학원의 본 기능이 올바르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대학원을 논문 실적 등 평가의 잣대로 들이대기 전에 연구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체감 가능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대학교육연구소 임은희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국가장학금이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대학에 대한 정부재정지원이 부족하다 보니까 대학원생들에게는 등록금 지원이 안 되고 있는 현실”이라며 “대학원을 졸업한 뒤에도 취직이 어려운 상황은 사회적 문제로 될 수밖에 없다. 당장은 대학원생들에게도 든든학자금 대출을 허용하고 중장기적으로 국가장학금과 같은 등록금 지원을 통해 학비 부담을 줄이고 대학원생이 교육과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보영 기자 ourrights@cnu.ac.kr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