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점 ‘도시여행자’ 대흥동에 있을 때의 모습. 사진/ 서점 ‘다다르다’ 제공

  우리 지역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화두로 떠오른 이후 지속가능성이 있는 지역활성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졌다. 시민자산화는 그 논의 속에서 제시된 방안 중 하나다.
  시민자산화는 문자 그대로 공공∙민간을 넘어 ‘시민’이 주체가 돼 유무형의 자산을 공동 소유 운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지역 기반 공동체 조직을 통해 그 지역의 토지와 건물 등의 자산을 소유 및 운영한 뒤 이를 공동체에 재투자해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을 가져오도록 공유자산을 형성하는 전략이다. 이에 시민 자산화는 개발의 부작용인 젠트리피케이션의 대응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시민, 공동체 구성원 등의 주체가 개별적으로 자산화를 하는 형태부터 복합적으로 구성하는 방식까지 시민자산화의 형태는 다양하다. 공유자산을 만들어 시민과 지역 공동체가 스스로 공동의 자산을 형성하고 공유자산 신탁, 공유자산 금융기관, 공유자산 개발조직을 중심으로 공유자산 펀딩 플랫폼을 형성하는 것이 시민자산화에서 추구하는 바람직한 방향이다.
  우리 지역에서도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우려됨과 동시에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시민 자산화 움직임이 일어났다. 로컬 콘텐츠 회사 ‘도시여행자’는 대흥동에서 시작했지만 젠트리피케이션의 직격탄을 맞아 현재 위치한 은행동으로 이전했다. 퇴거 후 도시여행자는 ‘시민자산화’에 주목했다.
  시민자산화를 응원하는 시민들이 건물 매입 비용 투자를 약속했지만 불특정 다수에게 법적인 안전장치를 갖추지 못한 투자 행위인 ‘유사수신행위’에 해당해 프로젝트를 잠시 중단한 상태다. 도시여행자는 유사수신행위 문제 해결을 위해 시민자산화에서 채택하는 방식을 택했다. 투자 펀딩 플랫폼을 활용해 주식회사로 전환 후 주식을 매도해 운영비를 충당할 계획을 세운 것이다.
  도시여행자의 시민자산화에 대한 고민은 우리 지역 젠트리피케이션에 대응하는 새로운 방식의 해결책을 제시했다. 앞으로 시민자산화가 활성화되려면 적극적인 주민 참여를 토대로 하는 상향식 개발을 위한 법적∙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시민자산화 관련 추진 주체를 형성,과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