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주의의 목적?

 <글 싣는 순서>
 1. 철학이란
 2. 실존주의
 3. 사회비판이론
 4. 구조주의
 5. 실용주의

  프래그머티즘(실용주의)은 미국에서 생겨난 미국의 대표적인 철학으로써, 퍼어스(charles sanders peirce, 1839~1914)에 의해 시작되어,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 1842~1910)에 의해 보급되고, 다시 듀이(john dewey, 1859~1952)에 의해 대성된 것이다.
  프래그머티즘의 근본 사상은 경험 내지 삶이라는 것을 중시하여, 지식을 기본으로 경험ㆍ삶에 봉사하게 한다. 즉, 우리의 삶을 환경에 대한 적응에 다름 아닌 것인데, 지식은 환경에 대한 이러한 적응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도구인 것이다. 따라서, 지식은 이성주의 철학이 생각하는 것처럼, 진리를 위한 진리를 추구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삶에 대한 유용성이란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진리란 대상과 개념과의 일치라는 데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삶에 대한 유용성에 있다는 것이다. 어떤 개념이 진리인가 아닌가 하는 판단은, 그 개념이 삶에 대해 유익한가 어떤가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으면 안된다. 이리하여 그래그머티즘에 있어서는 당연히 절대적 진리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고, 일체의 진리는 상대적인 것으로 된다.
  창시자 퍼어스가 활동했던 70년대의 실용주의란 그 '형이상학 그룹'에서도 "개념을 명석하게 하는 방법"에 불과했다. 그러나 제임스 등의 노력에 의해 90년대에는 "종교적인 생활신조와 기술적인 사고방식 사이의 상극을 조정하려 한다."는 식의 국민적 사상운동으로 성장ㆍ보급되었다. 이는 미국의 국정에 깔린 모순의 심화가 실용주의를 요구했기 때문이었다. 듀이는 더욱이 이것을 그 주요한 과제인 사회철학과학으로까지 완성시켜, 실용주의를 세계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실용주의 창시자인 퍼어스는 자신의 전기 논문에서 다음과 같이 실용주의의 정의를 말하였다. '실제로 어떤 결과가 일어날지는 생각할, 그 결과에 대한 생각이 밝힐 대상에 관한 전관념이다.' 이 정의에서 보는 바와 같이 퍼어스의 실용주의에 의하면 어떤 대상에 대한 우리의 사상 혹은 관념을 완전하게 밝히려면, 그 대상이 어떤 종류의 실천적 결과를 가져오는지를 생각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우리의 관념은 그 대상에 관한 우리의 관념의 전체라는 것이다. 이렇게 퍼어스의 실용주의는 관념적이었다. 그의 실용주의가 논리주의에 머무리게 된 것도 관념을 실천에 연결시키지 못하였던 까닭이다.
  퍼어스의 실제주의가 관념적ㆍ논리적인데 대하여 관념의 결과를 고찰하는데서 한걸음 나아가서 그것의 실제적 결과를 경험과 실험을 통하여 검토할 것을 강조한 사람은 제임스였다.
  제임스의 진리관은 공리주의적이며 상대주의적이다.
  이러한 제임스의 실용주의는 듀이에 의해 사회적으로 발전된다.
  듀이는 제임스의 실용주의를 발전시켜 기구주의(Instrumen talism)를 세운다. 그는 경험적 논리, 즉 탐구의 논리를 주장하여 진리를 탐구(Inguiry)로 대치시켰다.
  제임스가 주로 종교와 도덕에 관심을 가졌던 데 대하여 듀이는 사회적 환경에 관심을 가졌고, 과학적 방법에 의하여 그것을 검토한다. 제임스의 실용주의가 개인적이요, 심리주의적이었던데 대하여 듀이의 실용주의는 새회적이요, 생물학적이요, 행동주의적인 것이다.

 이옥진(철학3ㆍ우리철학회회원)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