갖가지 잡음과 혼선속에서 지자제선거의 막바지에 다다랐다. 아직 제대로 된 평가의 자를 댈 수 있는 그런 시기는 되지 못하지만 이번 선거의 가열이 본래의 지방자치제가 가지는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음은 자명하다. 전국 대도시 시장선거에 개입하는 중앙정당의 목소리와 지방등권론이니 핫바지니 하는 탁상공론과 지역할거주의, 정부와 민주당의 웃지못할 해프닝등 이번선거가 일으킨 거품들은 그간의 정치관행을 일소하기는 커녕, 오히려 '지방자치란 소모적인 정치 놀음이다'라는 그릇된 국민적 인식만 낳고있다. 모 주간지의 조사결과는 '이번선거는 본래의 목적에 부합하지 못했다'는 의구심에 확실성을 부여하고 있다. 서울 시민 7백여명을 조사한 결과, 실제적인 내고장일꾼인 구청장 시ㆍ구의원에 대한 인지도가 반 이하로 나타난 것이다.
  우리학교 총학생회에서는 지난달 대동제 기간을 즈음하여 올 지자제 선거에 대한 우리학교 학생들의 관심을 조사한적이 있다. 민족충대 제4호 개제된 그 내용을 살펴보면, 응답자 1천2백여명중 897명이 선거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반면, 303명은 선거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지지하는 정당을 묻는 질문에서는 응답자 689명중 무소속 315명, 민주당 239명, 민자당 82명, 자민련 43명의 순서로 나타나 기존정치집단에 대한 불신이 무소속 선호의 경향으로 드러남을 증명했다. 한편 어떤 기준으로 후보자를 선택할것이냐는 질문에서 응답자 124명중 인물 71, 공약 27, 약력 8, 소속정당 8, 출신 지역 4, 기타 6의 순서로 대답해 사람의 배경보다는 인물의 능력을 중시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후보자 선택 기준중 어떤사람을 선호하는가에 대한 물음에 응답자 100명중 정치인 35, 일반시민 25, 행정, 언론 22, 교수 8, 경제인 4, 기타6등의 순서로 대답해 지역선거에서 아직도 정치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을 드러냈다. 이밖에도 지방화시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를 묻는 질문에서 대전지역에서는 물가와 교통문제가 우선적으로 손꼽혔고, 유성지역에서는 교육환경과 일반환경개선등이 손꼽혀 관광특구지역의 폐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제 선거 태풍을 몇몇 당선자들만을 남겨놓고 지나갈 것이다. 그러나 민주주의의 꽃, 지방자치시대의 개막은 이들 당선자들이 만들수는 없다. 우리가 뿌린 씨앗은 우리의 손으로 거두겠다는 주인의식의 필요성을 또 한번 각인해야 하는 것이다.

 김재중 기자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