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4차산업 일자리 현황, 대부분이 수도권에 편중된 양상이다. 인포/ 김도균 기자

  취업난은 청년 세대의 보편적 문제이지만 ‘지방러(지방 출신 사람을 일컫는 신조어)’에게 그 정도는 더욱 크게 다가온다. 우리 사회의 고질적 병폐인 지역 불균형이 이들의 취업 전후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
  충대신문이 지난 8월 1일 취업 플랫폼 잡코리아에 등록된 1,000대 기업 채용공고 1,613건을 분석한 결과, 그중 1,442건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의 ‘2021년 2분기 지역별 청년고용률’에 따르면 수도권의 청년고용률은 50%를 넘거나 근접한 반면 충남·전남·경북 등은 40%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렇듯 통계치는 “취업하고 싶어도 갈 곳이 없다”는 지방러들의 아우성을 대변하고 있다. 
  취업 준비 과정에서도 ‘지역 격차’는 두드러진다. 지난 2019년, 잡코리아가 지방에서 구직활동을 하는 경계 청년 5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5.5%가 ‘거주 중인 지역에 취업·채용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답했다.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취업·채용 인프라를 묻는 문항(복수 응답)에서는 41.0%가 ‘대외활동 및 인턴 기회’를 선택했다. 실제로 충대신문이 지난 8월부터 한 달간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등록된 3,606건의 인턴 채용 공고를 분석해보니 2,743건이 수도권 소재 기업의 공고인 것으로 드러났다. 
  대전에 거주하는 우리 학교 A 학우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수도권에서 진행되는 대외활동은 참여를 포기했다”며 아쉬운 기색을 표했다. 이어 “지방에서 대외활동을 구했지만, 수도권에 비해 그 종류가 다양하지 않아 선택의 폭이 좁았다”고 말했다.   
  이처럼 지방러들만의 취준 고충은 각종 기업·기관이 수도권에 편중된 데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일자리가 수도권에 몰려 있고 절대적 인구수도 많다 보니 대다수의 대외활동·인턴 등이 자연스레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이다. 
  막상 취업해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일자리 양극화’는 지방러들의 고충을 가중한다.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2015년 고숙련·고학력·고소득 일자리 수 상위 39개 지역 중 82%인 32개 지역이 수도권에 위치했다. 또한 산업연구원의 보고서에선 2020년 4차 산업혁명 관련 전체 사업체·연구개발(R&D) 센터의 50%가 수도권에 소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양질의 일자리가 수도권에 편중된 탓에 경제적 부담을 감수하고 울며 겨자 먹기로 상경을 결심하는 지방러들이 부지기수다. 
  ‘서울에서 태어난 것부터 스펙’이라는 지방러들의 자조 섞인 푸념은 ‘서울공화국’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쓴 우리나라의 현실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관계는 순망치한과 같다.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듯, 비수도권이 퇴보할수록 수도권도 위태로워지고 궁극적으로는 국가경쟁력마저 감소한다. 
  이러한 지역 불균형 문제에 대해 우리 학교 사회학과 황선재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공기업이나 정부 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하는 시도들이 지역 균형 발전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중장기적으로는 교육, 취업, 주거, 혼인 등 청년들의 생애 과정이 지방에서도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는 ‘삶 자리’가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