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과 충남이 10월 8일자로 혁신도시로 지정됐다. 이로써 대전시는 낙후된 원도심의 발전을 꾀하고 4차 산업도시와 과학도시로 거듭날 수 있게 됐다. 대전시의 혁신도시 지정은 세종시 출범 등의 역차별로 인해 미뤄진 바 있으며,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거해 대전시와 충남은 혁신도시에서 누락됐기 때문에 이번 지정은 더욱 의미가 크다.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 과정에 대한 문제는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 국정기획 정책 건의를 통해 혁신도시의 필요성이 드러나면서 시작됐다. 이후 2018년 1월, 광역시·도에 혁신도시를 두도록 하는 혁신도시법 일부 개정안이 발의됐다. 2019년에는 충청권 시·도지사의 공동 건의문과 대전시 국회의원들의 국가균형발전특별법 발의를 통해 혁신도시 지정에 한 발짝 나아갈 수 있었다. 올해 초, 대구·경북 일부 의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서명운동과 공동 건의문 등을 통해 혁신도시 지정이라는 값진 성과를 얻었다. 
  혁신도시 지정을 통해 우리 학교 학생들은 17개 공공기관을 포함한 충청권 51개 공공기관에 지역인재 의무채용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다. 또한 수도권 공공기관과 관련된 기업도 이전해 지역 일자리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외에도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에 따른 인구이동으로 대전·충남 지역의 인구와 지방세수 증가, 이전기관 관련 산업의 활성화 촉진, 지역물품 우선구매 등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역세권지구와 연축지구를 중심으로 한 대전 혁신도시는 동서 불균형을 해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허태정 대전광역시장은 대전시 혁신도시 관련 시정 브리핑을 통해 “혁신도시 지정은 새로운 시작일 뿐, 수도권의 공공기관 또한 하루 아침에 우리 지역으로 내려오는 것은 아니다”라며 “수도권 120개 이상의 공공기관 중 대전시로 이전해 오는 기관은 기존 대전시에 위치한 기관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어야 한다”고 전했다. 대전광역시청 균형 발전 담당관 또한 “혁신도시 지정은 지역 정치권·충청권 지자체·시민단체 등과 연대해 각계각층의 협력을 통해 이뤄낸 결과이므로 더욱 값지다”며 “대전시민을 비롯해 도움 주신 모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린다”는 소감을 말했다.
  또한 “대전시는 혁신도시 지정 후에도 그 성과를 위한 많은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며 “혁신도시 지정 신청과정에서 밝힌 바와 같이 과학기술과 교통 중심지임을 감안해 과학기술, 교통, 지식산업 관련 공공기관 이전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 역세권지구는 철도·교통 관련 공공기관과 특허청 등을 연계한 지식산업 관련 공공기관을 이전해 오고, 연축지구에는 과학기술 관련 공공기관을 유치해 이들과 대전시의 연계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대전·충남 혁신도시 지정은 약 3년간의 고군분투를 통해 이뤄낸 성과로 제2차 혁신도시 모델로서의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대전시는 공공기관과 관련 기업 이전을 통해 기존 연구기관, 창업지원기관, 대학교 등과 연계해 도시혁신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해 나갈 예정이다. 이에 우리 학교 학생들을 포함한 대전시민들 또한 혁신도시 지정에 관심을 갖고 ‘원도심 개발 및 4차 산업도시’를 모토로 하는 대전시의 발전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