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특별시의 성공, 우리 대학에 달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월, 대통령의 주재로 대전시청에서‘4차 산업혁명 선도지역거점 창출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대덕특구를 혁신 플랫홈으로 만들어 전국 5개 연구개발특구와 연계하는 플랫홈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2022년까지 연구개발특구 내 기업 7,500개, 총 매출 70조원, 고용 30만 명의 목표를 제시했다. 이를 위한 6대 과제속에는 먼저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형태의 연구개발이 아닌 지자체가 직접 사업을 제안하는 지역주도의 방식이라는 점, 대덕특구의 성과를 지역분원을 통해 지역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 그리고 특구중심의 과학기술 혁신인재 성장체계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다소 진일보한 측면이 있다.
 다시 한 번, 대덕특구와 유성구 및 대전시는 꿈과 희망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대전시민들과 대덕특구 종사자들은 기대만큼 열렬히 환영하는 분위기는 아닌 것 같다. 연구단지가 50년이 다 되어가는 동안 과학특구가 될 때도 또 과학비즈니즈벨트의 거점도시가 될 때도 거의 같은 얘기를 수없이 들어왔다. 비슷한 장미빛 청사진은 반복적으로 제시되었지만, 대덕특구는 지금 각 지역의 분원 출범으로 ‘선택과 집중’의 과학정책은 실종되었을 뿐 아니라 연구여건과 보수면에서 점점 경쟁력을 잃고 있어서 연구원들이 하나 둘 대덕특구를 떠나면서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대부분의 대전시민들의 삶과 생계가 대덕특구와는 여전히 무관하기 때문에 대통령이 지원을 약속했음에도 별 관심이 없다.
 물론 정부의 계획대로만 간다면 이제 유성을 중심으로 한 대전권은 4차 산업혁명의 선도도시가 됨으로써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성장 메카가 강화된다. 그리고 대덕특구의 연구개발이 대전의 일자리 창출과 혁신창업으로 이어진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대전시와 유성구는 각종 선언과 정책을 쏱아내고 있으나 수사학적으로 어려운 용어들만 난무할 뿐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내용은 여전히 찾기가 어렵다. 특히, 유성과 대전의 구체적인 지역발전의 전략과 계획 그리고 지역대학을 통한 과학인재 육성의 구체적 대안은 여전히 마련되어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중앙정부 주도의 대덕특구가 지방주도가 되려면 대덕특구본부, 대전시, 지역대학, 연구소, 지역기업 간의 거버넌스체제의 구축도 정립되어야 하는데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물론 우리 대학이 이 체제를 주도해야 할 당위성과 사명감이 있음은 당연하다.
 그간 숱한 어려움을 슬기롭게 극복하면서 대전을 과학도시로 발돋음시킨 주인공은 대전시민들이다. 이제부터 시민들이 대한민국과 대전시 그리고 유성의 발전을 위해 적극 나서서 해야 할 일은 크게 두 가지다. 먼저 대덕특구가 대한민국과 대전시의 혁신성장의 거점이 되도록 정부가 약속을 지키는지 두눈을 부릅뜨고 지켜보는 것이다. 나아가 중단 없이 그리고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촉구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덕특구의 성과가 반드시 대전발전과 연계되도록 만드는 일이다. 
 끝으로, 대덕특구에 최고 수준의 과학인프라와 기술역량이 집중된다고 해도 대전시가 4차 산업혁명 특별시가 저절로 되지 않는다. 시민들의 과학적 사고와 활동이 지역발전은 물론 시민들의 삶과 연계될 때 명실상부한 과학도시가 된다. 외지로부터 새로 유입되는 사람과 문화에 대해서도 개방성과 관용성을 갖춘 똘레랑스(Tolerance) 도시가 되어야 한다. 우리 대학이 해야 할 역할이 막중하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