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엔 봄이 올까

홍세영 편집국장/정치외교학과

  찬 바람이 물러서고, 봄 기운이 캠퍼스를 곳곳을 채우고 있다. 앙상했던 가지도 초록이 물들며 꽃을 틔우기 위해 분주히 준비하는 모습이다. 새삼 새학기가 시작됐음이 실감나기도 한다. 포근한 날씨에 교내를 거닐다보면 ‘제49대 총학생회 재선거’를 앞두고 선거운동을 하는 후보자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지난해 11월에 치러진 제49대 총학생회장 본선거에서 단선 후보자가 찬성률 미달로 낙선하며, 총학생회의 공석은 비상대책위원회가 대신하게 됐다. 3개월간 총학생회의 부재를 비상대책위원회가 수행하며, 학생들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활동을 이어왔다. 어느덧 시간이 지나 총학생회장 보궐선거를 불과 이틀 앞두고 있다. 지난해 11월 본선거에서 낙선했던 선본외에는 출마자가 없어, 이들이 또 다시 단선 후보자로 출마하게 됐다. 그들은 상대 선본의 자격박탈과 투표율 저조로 거듭된 연장 투표, 어려모로 다사다난했던 선거를 뒤로하고 다시 학우들 앞에 섰다.

 

위태로운 학생자치

  약 3개월이라는 ‘공백기간’동안 그들은 무엇을 고민해야 했을까. 지난 본선거에서의 ‘낮은 투표 참여율’과 ‘낮은 찬성률’이라는 문제는 꾸준히 회자되고 있다. 이번 재선거는 본선거와 다르게 투표율에 대한 제한이 없다. 즉, 유효투표수의 과반이 찬성일 경우 당선되는 것이다. 그러나 학생대표자 선출에 있어 ‘상대적인 찬성률’이 얼만큼의 선거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는 미지수다. 총학생회는 학우들의 권익 신장과 보호를 수행하는 학생대표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자리다. 즉, 학우들의 투표참여와 지지만이 그들의 역할 수행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비단 우리 학교만의 일이 아니다. 연세대 신촌캠퍼스의 경우에는 2016년 선거가 무산된 후로 2년째 학생대표자가 선출되지 못했고, 원주캠퍼스마저도 출마자가 없어 말 그대로 ‘총학 없는 학교’가 되었다. 한양대에서는 3월 재선거가 무산되면서 5월에 ‘재선의 재선’을 앞두고 있다. 이 외에도 지난해 서강대, 한국외대, 숙명여대 등 여러 타대학이 비대위 체제로 운영됐다. 이는 학생자치의 위기다.
  학생자치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무관심과 불신은 총학생회의 대표성 부재와 학생자치 기구의 입지 축소라는 문제를 낳는다. 이는 결국 학생복지의 축소라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생대표자와 학우들의 관심과 노력이 요구된다. 학생자치기구의 대표자는 그에 맞는 책임감과 자질을 갖추기 위해 힘써야 하며, 학우들은 대표자 선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그들의 자질을 검증하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할 것이다. 과연, 4월에는 봄이 올까.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