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하여 창의성을 기르나

  4월은 잔인한 달이라고 시인은 적었다. 비록 그 의미가 다를지라도 잠깐 피었다 봄비에 떨어지는 벚꽃잎을 보고 있으면 저 문구가 떠오르지 않을 수 없다. 4월의 잔혹한 면은 또 다른 곳에도 있다. 낮밤을 가리지 않고 좌석을 가득 채운 도서관과 카페에 들어서는 순간 4월이 잔인하게 구는 대상이 벚꽃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도 밤을 지새우는 친구들은 교재만을 붙들고 있을 수도 없다. 끊임없이 발표와 토론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더러는 ‘인공지능의 시대’라고 하고, 어떤 이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라고도 한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은 이전과 달라졌다. 학생들이 갖추어야 하는 능력은 단순 암기력이 아닌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떠올릴 수 있는 창의성이다. 대학 강의실에서 발표와 토론을 비롯한 참여형 수업이 늘어난 배경이다.
  반가운 일이다. 이제껏 무비판적으로 불러주고 받아쓰던 주입식 교육의 폐해는 모두가 익히 아는 바다. 이제는 벗어나야 할 교육 방식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구시대적 교육을 탈피한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나 한 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이 있다. 기존의 방식이 옳지 않았다고 한다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방식의 수업들은 학생들에게 적절한가? 더 나아가 학생들은 그러한 참여형 수업을 통해 자유로운 사고방식과 창의성이라는 혜택을 받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오늘날 ‘창의성’을 위해 ‘더 많은 발표와 더 많은 토론’이라는 세례를 받고 있는 입장에서 이러한 질문을 던져보고 싶다.
  회의가 잦다고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는 것이 아닌 것처럼 발표와 토론의 빈도를 높인다고 창의성 함양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저 새로운 방식이라고 해서 그 효과마저 맹신하는 것은 새로운 실수를 반복하는 것뿐이다. 새로움을 좇아가기 이전에 자발적 참여라는 물을 담기에 충분한 그릇이 마련되었는가를 고려해야 한다.
  누군가의 주관적인 발상에 수업이 좌지우지 되는 것도 경계할 일이다. 또한 자유로운 수업 방식이 곧 가이드라인 부재의 당위를 뒷받침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더욱 촘촘히 짜인 교수법이 필요하다. 이것이 없다면 수업에 참여하기 위한 노력의 분배는 일방적으로 치우칠 따름이다.
  나는 창의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다양성을 존중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하고,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져야 하고 사색할 수 있는 여유가 필요하다. 지금의 대학생들에게 위의 세 가지가 충족되고 있는가?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한 줄로 세워질 뿐인 결승선에서 창의성은 설 곳이 없다. 그럼에도 창의적이길 요구한다면 이는 누군가에게 또 하나의 부담이 될 뿐이다.
  차라리 지금의 교육 현장에서 필요한 것은 수업을 이루어가는 구성원들 간의 소통이다. 한쪽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지 않는다고 하고 다른 한쪽은 자율 아닌 자율적 참여가 마음의 짐이 된다고 한다. 해서 서로의 답답함만 커져가는 것은 아닐지 생각해본다.
대학의 구성원들 서로 간에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다함께 곰곰이 생각해 볼 문제다.   김찬혁 (언론정보・3)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