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신 교육모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대한민국에서 공교육은 ‘정상적인 사회화’를 위한 필수 과정으로 여겨진다. 지금까지의 공교육은 수업을 통해 지식을 습득한 후 시험을 통해 평가하는 방식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규정짓고 시행했다. 하지만 최근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교육방식이 등장하고 교육현장에 적용되며 교육혁신을 일으키고 있다.

 

21세기 맞춤형 교육모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이란 수업에 앞서 영상이나 논문 자료 등 교수가 제공한 자료를 사전에 학습하고, 강의실에서 토론 및 과제 풀이활동 등을 통해 개념을 심화 및 활용하는 수업 방식이다. 플립러닝은 깊이 있는 수업을 구성할 뿐 아니라 수업 질의 향상과 비용 절감을 동시에 달성한다는 측면에서 ‘파괴적 교육 혁신’이라 평가되고 있다.
  KBS에서 방영한 플립러닝 관련 다큐멘터리에서 플립러닝에 참가한 학생은 “플립러닝의 사전수업 영상은 기존의 수업과 달리 반복 시청할 수 있다. 이것이 한 학기 만에 30점을 향상시킨 비법”이라며 플립러닝의 사전 학습방식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플립러닝이 새로운 교육방식으로 등장한 배경에는 사회적 인식 변화가 자리하고 있다. 산업화시대를 지나 21세기를 맞이하면서 사회는 지식의 습득보다 지식 응용력을 갖춘 창의적 인재를 요구하고, 이런 요구에 따라 플립러닝이 등장한 것이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육학습센터 범수균 팀장은 “유연한 수업분위기와 교수자와의 교류가 보장되는 플립러닝을 통한 학습은 문제 해결능력이 있는 21세기형 인재를 양성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 학교 교육학과 김정겸 교수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새로운 교육방식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 대학 플립러닝 점차적으로 도입

  현재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는 학부 수업에 적극적으로 플립러닝 방식을 도입해 시행하는 중이다.
  국내 플립러닝을 선도하고 있는 울산과학기술원은 2009년 개교 초 경영학부 임진혁 교수의 과목을 시작으로 플립러닝을 확대 및 적용하고 있다. 2014년 울산과학기술원은 플립러닝을 적용하기 위해 전체의 약 20%에 달하는 과목을 재설계 했다. 범 팀장은 “교육의 질 향상, 교육 비용 절감, 교수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충족하기 위해 플립러닝을 적극 지지한다”고 말했다.
  2011년 한국과학기술원은 플립러닝 형태의 새로운 수업 모델 ‘에듀케이션 3.0’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과 석현정 교수는 “매 학기 ‘에듀케이션 3.0’모델로 수업을 진행한다”며 “그 결과 학생들의 몰입도와 반응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좋아지고 있다”고 만족감을 표했다.
  이외에도 경희대, 고려대, 이화여대를 비롯한 국내 대학에서는 플립러닝을 도입하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우리 학교에서도 소수의 플립러닝방식의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 학교의 플립러닝수업은 대체적으로 수강인원이 적어 폐강되는 실정이다.
  2015년 플립러닝을 시행한 김정겸 교수는 “우리 학교 학생들은 학습적 측면에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래서 플립러닝 수업이 원활히 진행되지 않고 있다”며 플립러닝 시행 당시 겪었던 어려움에 대해 말했다.  

 

학생 선호 낮은 플립러닝, 인식 제고 등 노력 필요

  일반적으로 학계의 전문가와 교수들은 플립러닝을 적극 지지한다. 하지만 우리 학교 학우들은 플립러닝에 대해 미온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학내 커뮤니티 ‘유어유니브’에서 플립러닝 강의는 “회의감 드는 수업”이라 평가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배우는 것도 없고 발표만 하는 수업”이라며 플립러닝 방식을 이해하지 못 하는듯한 반응도 존재한다.
  우리 학교 A학우는 “플립러닝 방식의 수업은 사전학습을 필수적으로 해야 수업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부담스럽다”며 플립러닝을 기피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김정겸 교수는 “학생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플립러닝이 무엇인지, 왜 필요한지 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정부나 대학 차원의 재정적‧정책적 지원은 그 후의 문제”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