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부스 설치에 수반되는 다른 방안도 있어야 성공적 안착 가능

  학내 흡연을 둘러싼 흡연자와 비흡연자간의 갈등 해소에 대한 방안으로 ‘흡연부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학 캠퍼스는 교정 전체가 금연구역인 중·고등학교와는 달리 건물 실내를 제외한 곳에선 흡연이 가능하다. 때문에 현재 우리 학교 캠퍼스 내 각 단과대·교양관 등 건물 앞에는 흡연자들을 위한 ‘암묵적’인 흡연구역이 마련돼 있다.
  흡연구역이 대체로 건물 입구 바로 앞이나 금연구역에 위치해 흡연권·혐연권을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 비흡연자인 A 학우는 “왜 단과대 입구 앞에서 담배를 피는 지 이해할 수가 없다. 특히 교양관과 사회과학대는 건물을 들어가기 전에 숨을 참아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지난 달, 우리 학교 대나무숲 페이스북 페이지에는 “금연구역인 공대3호관 1층 통로에서 무슨 생각으로 담배를 피는 것인지. 억지로 간접흡연을 시키지 말아 달라”는 제보가 큰 호응을 얻었다.
  흡연자들 역시 고충을 호소한다. 경제학과에 재학 중인 B 학우는 “물론 각 단과대 앞 흡연구역이 공식적인 것은 아니지만 그곳마저 없으면 흡연자들은 담배를 피울 곳이 없다”고 말했다.
  흡연부스 추가설치는 흡연자·비흡연자의 공간을 분리시킨다는 점에서 흡연권·혐연권 충돌을 완화시킬 수 있는 대책이다. 현재 우리 학교에는 학생생활관 단지 내 1개의 흡연부스가 설치돼 있다. 비흡연자인 김태임(산림환경자원·1) 학우는 “흡연부스가 생기면 흡연자들은 비흡연자 눈치를 덜 보게 되고, 비흡연자들은 담배연기를 덜 맡아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A 학우는 “흡연자들이 많다는 이유로 생긴 현재 흡연구역 문제를 해결하는 데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흡연부스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현재 대학본부는 학교 정책차원에서 흡연부스를 추가로 신설할 계획이 없다. 하지만 학내 각 기관이 흡연 부스 신설을 위한 예산을 요청할 경우엔 예산심의에 이를 반영한다는 입장이다. 대학본부 시설과 김흥섭 계장은 “사실 시설과가 흡연부스 설치 여부를 정할 권한은 없다. 다만 학내 기관이 흡연부스가 필요해 시설과에 설치를 요청한다면 예산 등을 고려해 논의에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흡연부스, 보강 대책이 중요해

  학내 올바른 흡연문화를 정착시키려면 흡연부스 뿐만 아니라 이에 수반되는 보강 대책도 중요하다. 우선 흡연자들이 실제로 흡연부스를 편하게 이용하도록 부스 내 시설이 제대로 구비될 필요가 있다. 과거 성균관대, 고려대 등 여러 대학에서 설치한 흡연부스가 전등, 환풍기, 충분한 공간 등 시설이 열악해 흡연자들의 외면을 받은 사례가 있었다.
  학내 유일한 학생생활관 흡연부스가 올해 초 버스정류장 옆에서 BTL 앞으로 이전한 것도 위의 사례다. 학생생활관 김무경 사무원은 “이전에 있던 흡연부스는 칸막이만 해놓은 수준이었다. 이번에 BTL 앞으로 이전한 흡연부스에는 환풍기, 에어컨 등을 설치해 흡연자들의 편의성을 높였다”며 “많은 학생이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향후 학내에 흡연부스가 추가 설치될 경우 지침이 될 유익한 선례라 할 수 있다.
  금연구역 단속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흡연권 보장을 위해 흡연부스를 신설한다면 당연히 비흡연자들의 편의성·쾌적함도 보장해줘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기초교양관 옥상·공대3호관 1층 통로·공대1호관 3층 야외 등에서 금연구역임에도 암묵적으로 흡연이 용인돼 온 게 사실이다. 이에 대해 단속 주체인 유성보건소 C 관계자는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곳이라도 담당 직원이 현장적발을 할 때만 과태료를 문다. 주기도 정해져 있지 않다”며 “명백한 정책적 공백이 있어 당장 해결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학내 금연구역이 지금과 같이 방치된다면 흡연부스가 신설되더라도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중요한 건 학우들의 의견이다. 현재 흡연을 둘러싼 학내 갈등이 심화되고 있지만 흡연부스에 대한 학우들의 여론은 미미하다. 흡연부스 추가신설에는 이와 관련한 보강대책·학우들의 의견이 필수적이므로 학내 여론 형성을 위한 총학생회의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