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램 도입, A에서 Z까지

  2014년 12월, 대전시는 도시철도 2호선 교통수단으로 트램을 확정했다. 2015년 트램 사업 추진팀을 꾸렸고 오는 2021년부터 공사에 들어가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트램이 완공되면, 서대전-정부청사-유성-진잠-가수원에 이르는 구간에 우리 학교를 포함한 총 34개의 정류소가 세워질 예정이다. 2025년 트램 시대는 과연 무사히 열릴 수 있을까?

고가자기부상열차에서
트램으로 변경된 이유는?

  대전시가 고가 자기부상열차 방식의 원안을 변경하고 노면전차 트램을 도입한 배경엔 재정문제와 교통체계 전환 목적 등이 있다. 트램의 경우 6,649억 원의 사업비용이 예상되는데, 이는 자기부상열차 건설비용의 49% 수준으로 재정적인 면에서 트램 건설이 유리하게 작용한다.
  대전 시내 차량 증가폭은 1년 평균 1만2천여 대에 이르며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 이에 대전시는 더 이상의 도로 확장을 통한 교통체증 해소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 교통체계의 중심을 대중교통으로 전환해 교통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트램 도입을 추진했다.

국정 감사 대상 제외,
트램 사업 진행에도 지장?

  이번 국정 감사 대상에서 대전시가 제외되며 시에서 추진 중인 트램 사업이 지장을 받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 이에 박필우 대전시 트램 건설 사무관은 “감사를 대비하며 자기부상열차에서 트램으로의 계획 변경 이유와 트램 건설의 향후 계획 등을 중점적으로 준비했다. 하지만 감사가 진행되지 않았다고 해서 사업에 차질이 생긴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도로 실정을 고려하지 않은 판단?

  대전시 트램 건설 계획은 유럽 모델을 참고하고 있다. 하지만 유럽 트램 도입국과 비교해 트램이 들어서게 될 대전지역 도로는 교통체증 수준이 심각하며 불법 주차 차량으로 혼잡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도로 위 차량 수요 조절이 적절히 이뤄지지 않는다면, 트램이 들어서더라도 차선만 차지하는 장애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박 사무관은 이 문제에 대해 “기존 자가용 이용자를 트램 이용자로 전환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라며 “기존에는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차선을 확대하고 도로를 추가로 건설하는 등 차량 위주 교통 정책을 폈다. 하지만 앞으로는 트램에 우선 신호를 주는 트램 우선 정책과 도로 위 차량 수를 줄이는 교통 수요 정책을 병행 시행할 예정”이라 밝혔다.
  트램으로 출퇴근 수단을 변경할 경우 자가용과 비교시 속도가 뒤처질 수 밖에 없다. 자가용을 고수할 경우에도 ‘교통 수요 정책’의 압박으로 불편함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무작위’ 무임승차 검표?

  일반적으로 트램 승차 시엔 검표를 따로 하지 않으며 검표관이 무작위로 트램에 탑승해 검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박 사무관은 “구체적으로 확정된 바는 없으나 비슷한 방식을 따를 것”이라 밝혔다. 다소 허술한 관리가 아니냐는 질문에는 “경각심을 주기 위해 무임승차 적발 시 표 값의 몇 십 배로 벌금을 부과할 계획”이라 말했다.
  이미 교통체증 진행이 심화된 현 상황에서 완벽한 해결방안 제시란 쉽지 않지만, 꾸준히 지적되고 있는 자가용 운전자의 불편과 무임승차 관리에 대해선 뚜렷한 대책 강구가 필요하다.
  우리 학교 A학우는 트램 건설에 대해 “우리 학교 앞에도 정차역이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문제점이 많이 지적되고 있는 만큼 걱정도 많다. 무사히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