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치 총학생회 공약 분석, 단발적 복지 공약 다수

  후보자는 선거에서 공약으로 말해야 하고 또한 내세운 공약으로 평가받아야 한다. 공약은 후보자의 운영 철학이 담겨있고, 학우들은 공약을 참고해 선거에서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기 때문이다. ‘제48대 충남대학교 총학생회 선거’에 앞서 지난 10년 간 10개의 총학생회(이하 총학) 공약을 살펴봤다. 공약은 크게 ▲소통 ▲복지 ▲교육 및 취업 ▲시설 및 환경 ▲문화 ▲기타 로 분류했다.
  10년간 10개의 총학 선거 공약은 총 179개에 달했다. 평균 한 해당 17.9개의 공약이 나온 셈이다. <자료 3>에 따르면,  가장 많은 공약을 낸 총학은 제38대 ‘2만의 오케스트라’ 총학으로 무려 43개의 공약을 내세웠다. 179개의 공약 중 가장 많은 분야는 ▲복지(27.4%, 49개)였다. 실제 10개 총학 중 7개의 총학이 복지 관련 공약을 최우선으로 배치했다. 이어 ▲교육 및 취업(17.3%, 31개) ▲문화(17.3%, 31개) ▲소통(16.7%, 30개) ▲시설 및 환경(14%, 25개) ▲기타(7.3%, 13개)순으로 집계됐다.


 앞서 진행한 ‘우리 학교 총학생회 인식 설문조사<자료 1>’에 따르면 응답자의 21.1%가 소통 관련 공약이 시행되길 원해 전체 2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10년간의 총학 공약 순위에서 소통은 전체 4위로 집계됐다. 소통 관련 공약은 제40대에서 25%(5개)로 가장 높았으나 그 비중이 점차 줄어 제42대는 소통 공약이 0%(0개), 제43․44대의 경우 5%(1개)로 나타났다. 그러던 소통 공약 비중은 제45대에서35.7%(5개), 제46대 27.3%(3개)를 기록했지만, 공약의 개수 면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서 드러나는 문제는 총학의 소통 공약이 방법에만 집중됐다는 점이다. 구체적 소통 공약들을 살펴보면 대부분 <‘점심 愛 Talk' 운영>, <단과대 소리함 운영>, <학내 총학 게시판 신설>, <학생회 전용 어플 개발> 등과 같은 소통 창구 신설이 주를 이룬다. 즉, 소통의 방법에 관한 공약에만 치우쳤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학우와의 소통에 있어 기존의 소통 창구를 적극 활용하는 방안은 모색되지 않았고, 새로운 방법을 만들어내는데만 급급했다. 학우와 ‘무엇을’ 소통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은 전무했고, 소통 공약은 눈에 보이는 성과를 내기 위한 전시성에 불과한 모습을 보였다.
  소통 공약의 부실은 학내외 굵직한 이슈들에 대한 총학의 무능․무력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자료 1>에 따르면 학우들은 ‘총학생회에 대한 인식 질문’에서 압도적(34.1%)으로 ‘학우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권리를 보호하는 집단’이라고 응답했다. 실제 총학 공약 분석에 따르면 제40․41․43․44대 총학에서는 <대학등록금>에 관한 입장을 밝히고 선거 공약으로 내놓았다. 또한 제37․44․45대 총학에서는 <국립대 법인화 공론화 또는 반대>를 공약으로 내세웠다.
  반면, 최근 들어 학내외 이슈와 관련해 총학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2015년 총장 선출 제도를 놓고 학내가 혼란스러울 때 총학은 학우들을 대변하는 공식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교수회는 ‘교수 총투표(당시 직선제 지지 76.8%)’를 거쳐 간선제 반대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한 것과는 상반된다. 심지어 대학본부가 ‘총장임용추천위원’ 비율을 조정, 학생 인원을 2명에서 1명으로 줄여 총장 선출에 학생 의견 반영이 약화되는 상황에서도 당시 총학은 어떤 움직임도 보이지 않았다. 사전에 공약이 전무했고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이 부재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뿐만이 아니다. 우리 학교가 굵직한 교육부 사업의 선정을 위해 선정 기준에 포함된 대학구조개혁 부문을 추진하던 중 무리한 학과 통폐합을 진행해 논란이 일었다. 행정학과와 자치행정학과를 행정학부로, 동물자원생명과학과와 동물바이오시스템과학과를 동물자원과학부로, 기계공학과와 기계설계공학과를 기계공학부로 통합하는 등 학과 통폐합이 이뤄졌다. 학우들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아 피해와 혼란을 겪었음에도 통폐합 해당 단과대학 차원의 움직임 외에 총학은 부재했다. 학과 통폐합을 추진했음에도 2015년 8월 발표된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우리 학교는 C등급이라는 결과를 받았다. 이에 대해서도 당시 교수회는 대학본부를 향해 날선 비판을 가했지만, 당시 총학은 부재 중이었다.
  '학우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권리를 보호' 하는데 어려움을 보인 총학은 당장 시행 가능한 단발성 복지 공약에 집중 투자하는 모양새다. <물품 대여 서비스>, <스마트폰 충전기 교체>, <휴지의 고급화>, <학생식당 메뉴 다양화>, <교내 버스>, <타슈 대여소 설치> 등이 그 예이다.
‘설문조사’의  ‘총학 인식’ 질문에서 총학을 ‘학우들의 입장을 대변하고 권리를 보호하는 집단(34.1%)’ 응답과 ‘학우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전달자 역할의 집단(16.1%)’응답이 전체 응답의 절반(50.2%)을 차지했다. 이는 총학이 학우들의 입장 대변과 권리 보호를 위한 존재로 인식되지만, 이에 대한 총학의 응답은 단발성 복지 공약에 편중되는 한계를 보였다.
  지난 10년간 역대 10개 총학의 공약을 분석한 결과와 설문조사는 학우들이 기존 총학의 소통에 대한 바람을 담고 있다. 학우들과 총학의 소통 부재는 학우 입장 대변 및 권리 보호라는 총학 존재의 필요성을 약화시킨다. 이는 학내외 사안에 대한 학우 대변자인 총학 자체에 대한 약화로 이어져 직․간접적 피해는 결국 오롯이 우리 학우들에게로 돌아온다.
  결국 정답은 ‘만사소통’이다. 모든 일은 소통으로 통한다. 지금껏 공약을 위한 ‘소통’은 있었지만, 소통을 위한 공약에 대한 고민은 부족한 현실이다. 소통의 방법을 매년 새롭게 만들어 내기보다 소통에 대한 진지한 고민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 학우들과 만나야 한다. 그것이 학우들이 원하는 총학이고, 총학 존재의 이유다. <자료 1>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31.1%가 총학을 ‘형식적으로 존재하는 집단 및 스펙의 수단’이라 응답했다. 시간은 얼마 남지 않았다.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