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지방 빼는 집회

 

 

  기자는 지난 19일, 대전 3차 민중총궐기에 다녀왔다. 민주노총을 비롯한 노동단체와 시민 수백명이 으능정이 거리에 모여 구호를 외치며 집회를 진행했고, 으능정이 거리에서부터 새누리당 청사를 지나 대전역으로 거리 행진을 이어나갔다. 집회는 큰 물리적 충돌 없이 평화적으로 진행됐다. 오히려 대전역 소음을 이유로 노숙자들이 시위대에게 달려들자 경찰이 시위대를 보호하는 등 집회를 최대한 보장하려는 경찰들의 협조가 있었다.
  사실 이제껏 시민의 힘으로 역사를 바꿔 온 순간에는 지역들이 존재했다. 이승만 정권의 부정선거에 항의한 마산봉기는 4.19 혁명으로 이어졌고, 이승만 하야로 전개됐다. 부마민주항쟁은 유신체제가 붕괴하는 계기가 됐으며 광주항쟁은 민주주의의 진전을 가져왔고 한국 민주주의의 상징이 됐다. 이토록 집회의 역사에는 항상 지역이 존재 했다.
  그러나 올해 민중총궐기를 비롯한 집회에서 지역은 배제된 느낌이 강하다. 민중총궐기만 두고 봐도 3차 민중총궐기에서나 지역에서 집회가 진행됐고, 1·2차 민중총궐기는 모두 서울에서 진행됐다. 지방 사람들은 서울로 상경해야지만 본인 개개인의 표현의 자유를 누릴 수 있었다. 서울이 우리나라의 수도임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해서 서울이 곧 대한민국은 아니다. 그럼에도 집회가 모두 서울에서만 집중적으로 진행된다는 것은 씁쓸한 맛을 지울 수 없다.
  민주주의는 무언가를 배제해도 좋은 정치 방식이 아니다. 따라서 민주주의를 실현 가능케 하는 집회 역시 무언가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진행돼서는 안 될 것이다. 서울에서만 사회를 변혁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지역의 목소리를 듣지 않는다면, 그 역시도 민주주의의 후퇴 아닌가.


곽효원 기자

저작권자 © 충대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